길진리생명빛

[스크랩] 서울대교구 > 광희문

오늘행복스마일 2010. 5. 12. 17:46

서울대교구 >  광희문
 

 
간략설명 시신이 쌓였던 곳엔 차량의 행렬만
지리좌표 북위 37°33′52″ 동경 127°00′36″
주      소 서울시 중구 신당동 을지로 7가 
전화번호 (02)2237-1784
팩스번호 (02)2238-1619
홈페이지 http://church.catholic.or.kr/shindang
전자메일
관련기관 신당동 성당


    

2백 년이 겨우 넘은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 안에서 그 반을 차지하는 1백여 년은 그야말로 피로 점철된 박해의 고난기였다. 전국 방방곡곡 순교자들의 피가 튀지 않은 돌이 없었고 포졸들의 눈길을 피해 방황하던 천주교인들의 발길이 가 닿지 않은 산과 골짜기가 없었다.
 
목자도 없이 스스로 복음을 찾아 나섰고 천주의 말씀을 자진해서 수용했던 조선의 천주교인들은 역사의 수레바퀴에 치여, 하느님께서 주신 고난의 십자가가 지닌 의미를 우리 후손들에게 자신들의 희생을 통해 너무나도 분명하게 말해 주었던 것이다.
 
특히 천진암, 주어사에서 시작돼 한양 땅에서 꽃피운 초기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는 피로 시작해서 피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새남터에서, 절두산에서, 서소문 밖네거리에서 천주교인들은 그저 천주를 믿는다는 단 한 가지 이유로 목을 잘리고 매를 맞아 숨이 끊어졌던 것이다. 지금도 이들 처형지에는 그 때의 처참했던 순교의 역사가 고스란히 살아 숨쉬고 있다. 
 
서울 특별시 중구 신당동 을지로 7가에 묵묵히 서 있는 광희문(光熙門)은 생(生)과 사(死)의 갈림길이었다. 수없이 되풀이되는 박해의 칼바람은 서울과 수원, 용인 등 인근 지역의 교우들을 도성 안으로 끌고 들어왔고 이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가혹한 고문 속에서 배교를 강요당하다가 끝내 이를 거부함으로써 가차없이 치명의 길을 가야 했다. 
 
장충단에서 한강 사이의 남소문(南小門)이 없어진 뒤 북쪽의 수구문(水口門)을 일컬어 광희문이라고 불렀었다. 본래 수구문은 서소문과 함께 도성 안의 시체를 성밖으로 운반해 내던 곳으로 송장 혹은 시체의 문이라는 뜻에서 시구문(屍口門)이라고도 불리었다.
 
도성 안에서 참수 치명한 순교자들의 시신은 짐짝보다도 못한 취급을 받으며 이곳에 내다 버려졌던 것이다. 살아서 이 문을 들어섰던 이들은 나중에는 시체가 되어 한마디 말도 남기지 못한 채 이 문을 나와야 했다.
 
현재는 퇴계로와 을지로 길이 만나 왕십리 방향으로 가는 길목에 온갖 사연을 간직하고서도 아무 말 없이 침묵을 지키며 서있는 광희문은 돌 하나하나마다, 풀섶의 풀 한 포기마다 세월이 흘러도 지워지지 않을 깊으 감동을 간직하고이싸. 지난 1984년에는 신당동 천주교회에서 성인 유해 순회 기도회를 바로 이곳에서 지내기도 했다.
 
광희문과 함께 대표적인 시구문으로 꼽히는 곳을 바로 남한산성의 수구문이다. 남한산성 동문 한켠 산비탈 아래에는 사람 두어 명이 지나갈 만한 작은 구멍이 나 있다. '살아서 들어간 동문'은 곧 '죽어서 나온 시구문'으로 이어진다. 경기도 광주뿐만 아니라 인근 양주, 이천 등지의 교인들은 체포되자마자 오랏줄로 꽁꽁 묶여 바로 이 동문으로 들어갔다 죽어서는 수구문을 통해 도성 밖으로 나섰던 것이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사진출처 : 오영환, 한국의 성지 - http://www.paxkorea.co.kr, 2005]

출처 : 풍수와 함께하는 문화답사
글쓴이 : 이순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