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흐는다

[스크랩] 조선의 숨겨진 궁가 이야기 (평단) 10

오늘행복스마일 2019. 1. 2. 10:23

 

 

 

 

 

 

 

 

 

운현궁은 궁궐일까, 궁가일까?

 

 

세조․광해군․인조․효종․영조․고종․선조․철종 등은 왕이 되기 전 어디서 살았을까?

 

 

 

 

 

 

조선의 사라진 궁가를 찾아서!

 

조선시대 때 한양에는 많은 궁가가 있었다. 궁가는 왕의 가족들이 사는 집으로, 왕이 살던 곳은 ?궁궐?, 왕실 가족들이 사는 집은?궁?, 즉 ?궁가?라 했다. 다시 말해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은 ?궁궐?이고, 흥선대원군의 집이자 고종이 태어난 ?운현궁?은 ?궁가?다.

 

 

궁가란 무엇인가?

잠저,

왕위 계승자가 아니었으나 왕이 된 경우, 왕이 살던 옛 집을 ‘잠저潛邸’라 한다. 세조가 혼인하여 살았던 영희전, 광해군이 살았던 이현궁, 인조가 살았고 효종이 태어나 살았던 어의궁, 영조가 살았던 창의궁, 고종이 태어나 살았던 운현궁 등이 있다.

 

사당,

왕비가 아닌 후궁에게서 태어난 왕자가 왕이 될 경우 왕의 어머니는 왕비가 아니기 때문에 죽은 후에 신주를 종묘에 모시지 못한다. 또 왕위 계승자가 아닌 왕자가 왕이 되었을 때 그 아버지도 마찬가지였다. 이 때문에 왕의 어머니와 아버지를 모시는 사당을 ‘궁’이라 불렀다. 칠궁 내에 있는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의 사당 육상궁, 경종의 생모 희빈 장씨의 사당 대빈궁과 선조의 생부 덕흥대원군의 사당 도정궁, 철종의 생부 전계대원군의 사당 누동궁, 정조의 생부 사도세자의 사당 경모궁 등이 있다.

 

궁,

혼기가 차서 출가한 왕의 자녀들인 왕자나 대군이 살던 집, 공주나 옹주가 혼례 후 부마와 살던 집도 ‘궁’이라 불렀는데, 용동궁․계동궁․사동궁․소공주궁․창성궁․죽동궁 등이 있다.

 

그 많던 궁가는 다 어디로 갔을까?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황실 재산을 국유화하면서, 고종이 토지개혁을 하면서 대부분의 궁가가 사라졌다. 그나마 남아 있던 궁가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모습으로 변하면서 사라졌다. 길 이름이나 동 이름으로 남아 있었으나 개발과 도로명 주소로 바뀌면서 그마저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다. 그 예로 희빈 장씨의 사당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대빈궁길’은 ‘삼일대로 26’으로 바뀌었다. 그 자리가 궁가였음을 알려주는 표지석이 남아 있는 곳도 있지만 그것조차 없는 곳도 있다. 그 많던 궁가는 세월이 지나면서 이렇게 자취를 감추었지만, 서울 시내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궁가가 있다. 바로 운현궁이다.

 

궁가,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1937년 헬렌 켈러가 방문한 서울맹아학교는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의 사당 선희궁이었고, 고종의 정치 고문 묄렌도르프가 살았던 곳은 순회세자의 궁가였던 용동궁이었다.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문을 낭독한 태화관 별유천지는 영응대군의 딸 길안현주와 사위 구수영이 살았고, 헌종의 후궁 경빈 김씨가 나와 살던 순화궁이었다. 왕실에서 일어난 처남 매부간의 재산 싸움의 주인공인 조무영과 김중겸은 태종의 딸 경정공주의 아들과 사위로, 소공주궁에 살았던 후손들이었다. 청와대 내에 있는 칠궁은 아들이 왕위에 오른 후궁들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고, 경우궁은 아들이 왕이 되는 것을 본 유일한 어머니 수빈 박씨의 사당이었다. 이렇듯 궁가에 대해 알아가다 보면 조선의 역사와 조선 왕실의 가족사가 보인다.

 

그럼, 조선시대에 궁가가 있던 자리는 지금 어떻게 변했을까?

세조의 잠저였던 영희전에는 서울중부경찰서, 인조와 효종의 잠저인 어의궁에는 롯데시네마 피카디리극장, 사도세자의 사당이었던 경모궁에는 서울대학의학박물관, 선조와 인빈 김씨의 소생 정원군이 살고 인빈 김씨의 사당이었던 저경궁에는 한국은행(화폐금융박물관),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의 사당인 선희궁에는 국립서울농․맹학교, 순헌황귀비의 사당인 덕안궁에는 서울시의회와 코리아나호텔, 세종의 여덟째 아들 영응대군의 궁가이자 세종대왕이 눈을 감은 안동별궁에는 풍문여자고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세종의 다섯째 아들 광평대군파의 종가는 고급 한정식집 필경재가 되었다. 덕흥대원군의 궁가이자 선조의 잠저인 도정궁의 사랑채 경원당은 건국대학교 내에 있다.

 

이 책은 서울시문화유산해설사로 활동하는 저자가 다소 생소한?궁?이라는 문화재에 호기심을 갖고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쓰여졌다. 저자는 지도 한 장 들고 서울 시내에 있던 ?궁가?를 찾아다녔다. 대부분은 그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았으므로 실망도 많이 했다. 그러나 저자는 답사와 자료를 통해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궁가의 역사와 사연을 알아가는 재미에 뒤늦게 역사 공부에 매진하게 되었고, 사라져가는 궁가의 역사와 운명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이 책을 쓰게 되었다.

 

 

■ 본문 속에서

?영희전永禧殿은 한성부 남부 훈도방에 있던 궁가로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 살았던 곳이다. 세조는 세종과 소헌왕후의 둘째 아들로 1428년 윤번의 딸과 혼인하면서 이곳으로 나와서 살았다. 그리고 의경세자와 해양대군(예종)과 의숙공주를 낳았다. 그 후 왕위를 찬탈한 세조가 가족들을 이끌고 경복궁으로 들어가면서, 왕이 살던 이 집은 세조의 궁가로 불렸다. 이곳은 그 후 혼인한 의숙공주와 정현조에게 내려주어 의숙공주가家가 되었다. 광해군 이후에는 사당이나 왕의 어진을 모신 곳이 되기도 했다.?(제1장 왕이 살다 20p)

 

?이현궁梨峴宮은 한성부 동부 연화방에 있던 궁가로 광해군이 유자신의 딸과 혼인하여 나와 살던 곳이다. 임진왜란의 발발로 광해군은 이곳에서 세자로 책봉되었고, 피란길에서 돌아온 광해군은 선조와 함께 궁궐로 들어갔다. 광해군과 문성군부인(폐비 유씨)은 이현궁에서 5년 남짓 살았다. 한때 이현궁에 광해군의 생모 공빈 김씨의 신주를 모시고, 광해군의 딸을 살게 하여 광해군의 제사를 모시게도 했다.?(제1장 왕이 살다 34p)

 

?창의궁彰義宮은 한성부 북부 순화방에 영조가 연잉군 시절에 살던 궁가다. 이곳은 원래 효종의 딸 숙휘공주와 부마 정제현이 살았는데, 숙종이 연잉군에게 하사했다. 경종이 후사 없이 죽자 왕세제 연잉군이 경종의 뒤를 이어 영조로 즉위했다. 그 후 이곳에 효장세자가 죽자 효장묘를 세우고, 의소세손이 죽자 의소묘를 세웠다. 순조 때는 효명세자의 사당인 문호묘를 세우기도 했다. 1900년에는 의소묘와 문희묘를 영희전으로 옮기면서 창의궁은 폐궁되었다.?(제1장 왕이 살다62 p)

 

?운현궁雲峴宮은 한성부 중부 관인방과 견평방에 있던 흥선대원군의 집이자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명복(고종)이 태어나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살던 궁가다. 고종은 이곳에서 명성황후와 가례를 치렀고, 흥선대원군이 섭정을 하며 나랏일을 보던 곳이기도 하다. 한양 내의 궁가 중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고, 소규모의 궁궐과 같이 4대문을 갖춘 곳으로 궁가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다.?(제1장 왕이 살다 77p)

 

?선조는 즉위 다음 해에 아버지 덕흥군을 덕흥대원군으로 어머니 정씨를 하동부부인으로 삼고, 잠저 후원에 가묘家廟를 지었다. 그리고 조모 창빈 안씨와 부모, 큰형 하원군과 남양군부인, 신안군부인 이렇게 6명의 신위를 모시게 하여 각각 제사를 받들게 했다. 그리고 신주를 땅에 묻지 않고 사당에 모시며 신위를 옮겨 모시지 않고 영구히 제사를 지내도록 하는 불천지위로 정했다. 그리하여 그 제사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제2장 왕을 낳은 부모가 살다 100~101p)

 

?한성부 동부 숭교방에 창경궁의 정원이었던 함춘원含春苑이 있었다. 영조 때 사도세자가 죽은 후 이곳에 사당을 짓고 수은묘라 했으며, 정조는 즉위하자 수은묘를 경모궁景慕宮으로 높여 불렀다. 정조는 아버지를 한 달에 한 번 참배하기 위해 창경궁에서 경모궁으로 가는 길목에 월근문과 일첨문을 내기도 했다.?(제2장 왕을 낳은 부모가 살다 129p)

 

?세종은 병이 잦았고, 자녀들의 요절 등으로 경복궁 풍수설의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 때문에 세종은 말년에 경복궁을 기피하여 아들, 사위, 형제 등의 집으로 옮겨다녔는데 결국 영응대군의 궁가에서 눈을 감았다. 세종 사후 영응대군의 집을 빈소로 삼았으니 왕세자인 문종은 이곳에서 즉위식을 거행했다. 그리고 약 4개월 만에 묘를 마련하고, 세종과 함께 이곳에서 거처하던 후궁들은 자수궁으로 옮겼다.?(제3장 왕자와 공주가 살다 264p)

 

?길안현주는 세종의 아들 영응대군과 여산 송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467년(세조 13) 영응대군은 건강이 악화되자, 길안현주의 혼처를 구차홍具致洪의 아들 능성군 구수영으로 정했다. 세조는 영응대군이 죽자, 1468년 조카 길안현주와 구수영을 혼인시켰다. 그리고 편안하고 번성할 만한 땅을 하사하니, 이곳이 훗날의 순화궁이다. 구수영과 길안현주는 이곳에서 5남 5녀를 낳았다.?(제3장 왕자와 공주가 살다 276p)

 

?용동궁은 영조 때 사도세자빈 혜경궁 홍씨의 궁이 되었고, 순조 때 효명세자빈 신정왕후의 속궁이 되었다. 이때 용동궁이 박동?洞으로 옮겨져 ‘박동궁?洞宮’으로도 불렸다. 고종 때에는 명성황후의 친정에 양자로 들어온 민승호閔升鎬의 동생 민겸호閔謙鎬의 소유가 되었다.(중략) 민겸호가 살해된 후 박동궁은 아무도 살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자 고종이 이 집을 정치 고문으로 초빙한 독일인 묄렌도르프Möllendorff(목인덕)에게 하사했다. 묄렌도르프는 한옥을 양옥으로 개축하여 살았다.(중략) ?(제3장 왕자와 공주가 살다 292~293p)

 

?죽동궁은 한성부 중부 관인방에 있던 궁가로 세조의 부마 정현조가 살다가 순조의 장녀 명온공주가 부마 김현근에게 출가하면서 살았다. 김현근은 정신질환이 있어 그를 치료하느라 집에서 매일 죽도竹刀를 들고 춤을 추어 칼 부딪히는 소리 때문에 명온공주의 집을 '죽도궁'이라 하다가 나중에 '죽동궁'이라 불리게 되었다. 고종 때 명성황후의 친정 오빠인 민승호가 살다가 이곳에서 폭발물 사고로 일가족이 몰살당했다.?(제3장 왕자와 공주가 살다 314p)

 

 

■ 저자 소개

지은이 _ 이순자

1953년에 태어나 서울 사대문 안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녔고, 청파동에서 대학을 다녔다. 그러다 보니 추억거리 대부분이 서울 안에 있다. 가끔 추억을 찾아 서울의 거리를 헤매다가 차츰 주변 문화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때부터 박물관 등에서 하는 교육을 받았고, 서울시문화관광해설사․여성문화유산해설사․과천문화지킴이로 활동하게 되었다.

1975년 숙명여자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6년간 경일고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했다. 결혼 후 교사 생활을 그만두고, 아이들이 성장한 후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에 다녔다. 문화재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뒤늦게 역사 공부를 시작했고, 현재 서울시문화관광해설사로 활동 중이다.

서울시의 문화재를 해설하기 시작하면서 ‘궁’이라는 이름의 문화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궁궐’과는 다른 ‘궁’의 이야기에 호기심이 발동해 조선시대 한양에 있던 ‘궁’ ‘궁가’ ‘궁집’들을 찾아다녔다. 지금은 흔적 없이 사라진 ‘궁가’들의 잔재를 모아 모자이크를 맞추듯 스토리를 이어가면서 재미를 느끼고 있다.

 

 

■ 차 례

머리말 4

책머리에 7

 

제1장 왕이 살다

1 영희전, 세조의 잠저 20

현덕왕후, 세조에게 침을 뱉다 21

세조, 문수보살을 만나다 23

의숙공주와 음나무 25

여섯 왕의 어진을 모시다 28

영희전을 그리다 31

 

2 이현궁, 광해군의 잠저 34

서자가 왕위에 오르다 35

파란만장했던 광해군 37

계운궁에서 훈련도감까지 41

"이현궁은 넓고 커서 항상 미안하다" 42

그곳에 은행나무만 서 있다 44

 

3 어의궁, 인조와 효종의 잠저 48

효종이 태어난 상어의궁 49

정조가 하어의궁에서 반송시를 짓다 50

왕실의 가례소, 하어의궁 53

어의궁에서 인조반정을 일으키다 55

<인평대군방전도>에 나타난 하어의궁 56

 

4 창의궁, 영조의 잠저 62

효종의 지극한 '공주 사랑' 63

창의궁과 양성헌 65

영조의 요절한 후손들의 사당 68

역사의 산 증인, 통의동 백송 73

조선시대 길을 따라 75

 

5 운현궁, 고종의 잠저 77

'2대 천자지지'와 '형산의 옥벼루' 78

신정왕후는 왜 명복을 익종의 양자로 삼았을까? 81

궁궐에 버금가는 운현궁 85

인현왕후가 꿈에 나타나다 87

팔려나간 운현궁 90

 

 

제2장 왕을 낳은 부모가 살다

1 도정궁, 덕흥대원군의 궁가이자 선조의 잠저 98

중종의 막내아들 덕흥군 99

창빈 안씨의 음덕을 받다 101

역모로 죽은 이하전 104

운경기념관과 경원당 107

긍구당과 담연정을 거닐다 112

 

2 누동궁, 전계대원군의 궁가 114

사도세자의 후궁, 양제 임씨 115

역모와 순교 속에서 살아남다 116

강화도령 원범, 왕이 되다 119

전계대원군을 받들다 123

누동궁에 들어선 한옥들 126

3 경모궁, 사도세자의 사당 129

창경궁의 정원, 함춘원 130

사도제사, 8일 만에 죽다 131

정조, 아버지 묘를 천장하다 137

서양 의료와 의학 교육을 실시한 '대한의원' 142

 

4 칠궁, 숙빈 최씨의 사당과 정빈 이씨의 사당 146

칠궁의 주인들 147

어머니의 은혜를 온전히 하는 육상궁 150

지사에게 묏자리를 묻다 152

시어머니와 며느리를 함께 모신 연호궁 155

김신조 사건과 칠궁 158

 

5 저경궁, 인빈 김씨의 사당 162

서모의 은혜를 잊지 않다 163

순강원 169

달성위궁 170

조선은행이 된 저경궁 173

6 대빈궁, 희빈 장씨의 사당 176

숙종의 여인들 177

천민에서 왕비가 된 장옥정 179

후궁은 왕비에 오를 수 없다 182

268년 만에 숙종 곁으로 가다 183

경종의 사모곡 186

대빈묘와 대빈궁으로 남다 188

 

7 선희궁, 영빈 이씨의 사당 191

아들을 사지로 내몰다 192

의열묘에서 수경원으로 193

의열묘에서 선희궁으로 196

세심대와 감류천 197

영조의 배려와 정조의 안타까움 201

 

8 경우궁, 수빈 박씨의 사당 205

"내가 죽은 뒤에는 행록을 짓지 마라" 206

아름답고 경사스러운 묘 208

경사스러움을 돕는 사당 210

고종이 피신하다 213

학교를 열다 214

 

9 덕안궁, 순헌황귀비 엄씨의 사당 218

명례방의 명례궁 219

시위상궁에서 황귀비까지 222

비운의 황태자, 영친왕 224

경성부민관에서 국회의사당까지 228

 

 

제3장 왕자와 공주가 살다

1 자수궁, 무안대군의 궁가 232

장인 때문에 세자가 되지 못하다 233

후궁들이 모여 살다 237

명나라 궁녀, 굴씨가 살다 239

북학과 병원을 세우다 241

자수궁을 찾아서 243

 

2 소공주궁, 경정공주의 궁가 249

소공주댁, 재산 싸움에 휘말리다 250

호화스러운 남별궁 252

환구단과 황궁우가 들어서다 253

환구단인가?, 원구단인가? 257

3 안동별궁, 영응대군의 궁가 262

세종, 영응대군 궁가에서 숨을 거두다 263

왕의 자손이 대대손손 살다 267

정명공주가를 바치다 269

옥새를 치마 속에 감추다 270

궁중 나인들의 거처로 변하다 271

 

4 순화궁, 길안현주의 궁가 275

구수영과 길안현주 276

"나는 어필을 보고 싶다" 278

현종이 사랑한 여인, 경빈 김씨 280

태화관에서 독립선언문을 낭독하다 284

 

5 용동궁, 순회세자의 궁가 288

공회빈 윤씨의 시신이 없다 289

박동궁이 되다 292

'교육'을 통한 부국강병 294

최승희의 '숙명여자전문학교 설립 모금 운동' 296

묄렌도르프가 본 용동궁 298

 

6 창성궁, 화유옹주의 궁가 301

영조, 딸들을 지극히 사랑하다 302

화유옹주와 창성위 황인점 308

엄황귀비, 진명여학교를 설립하다 310

 

7 죽동궁, 명온공주의 궁가 314

단경왕후, 일주일 만에 폐위되다 315

죽도를 들고 춤을 추다 317

죽동궁 폭탄 테러 사건 320

8 계동궁, 남연군의 종가 324

명당 중의 명당 325

남연군의 종가를 이어가다 326

갑신정변, 3일 천하로 막을 내리다 328

'계동궁 연못'과 번댕이 330

 

9 사동궁, 의친왕의 궁가 334

홍역과 독살설 335

'범숙의궁'에서 태어난 의친왕 337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은 의친왕가 339

"나의 아버지 의친왕" 341

 

10 수진궁, 왕자와 공주를 모신 사당 346

평원대군과 영풍군 347

인성대군과 제안대군 349

용성대군과 의창군과 낙선군 352

숙신공주와 명혜공주와 명선공주 353

귀신이 모여 있던 수진궁 357

궁가 주소 359

참고문헌 360

조선왕조 가계도 363

찾아보기 371

 

 

 

 

조선의 사라진 궁가를 찾아서

답사 이벤트에 2명 초대합니다.

6월 11일 오전 10~12시

                                                                  우수 서평단 2명

 

 

 

 

응모방법: 이 책을 읽고 싶은 이유를 적어주세요.

 

서평단 모집간 : 4 30일 ~ 5월 6일

 

모집인원 : 10

 발표일 5월 7일 (→이벤트 당첨자 발표)
서평 작성 마감일책수령 후 2주 이내 ( → 책수령과 서평완료 댓글 확인)
 

 

    응모 자격:(쪽지는 처음 신청하시는분과 연락처 변경된분만 보내세요)

  정회원만 신청 가능합니다. (준회원인 경우 등업 신청을 받으세요-지역별 모임방)

  위의 내용을 스크랩 하시고 댓글로 신청을 남겨주세요.

     1.닉네임:   2.이름:     3:신청도서     4:주소 정확히(우편번호): 

         5 :핸드폰번호:     6:직업   7: 아이디

          쪽지로 1~7번까지의 내용을  예쁜글씨 앞으로 댓글 응모와 함께 보내 주세요.

 회원정보에 실명기재 확인, 블로그 공개 확인 합니다.(스크랩 확인)

 책수령 후 2주안에 자신의 블로그와 독서클럽, 인터넷 서점(YES24, 알라딘, 교보문고,

              인터파크, 리브로 등) 중 2곳에 서평을 남겨 주셔야 합니다

 

 ◆ 서평 이벤트 당첨 확인 후 출판사 담당자에게 메일로 책 받을 배송정보 보내고 댓글로 확 인을 남겨주셔야 합니다.(→이벤트 당첨자 발표)

출처 : ♥독서클럽♥ 책으로 만나는 세상
글쓴이 : 예쁜글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