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덕시외버스 터미널건물 외부
합덕시외버스 터미널건물 외부
합덕시외버스 터미널 내부
대전교구는 1976년 성역화추진위원회를 결성,
1977년 김대건의 동상과 기념탑을 건립하여
천주교인들의 순례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김대건 신부는 골배마실에서 신학생으로 간택되어
마카오로 유학을 가 1845년 상해 김가항 성당에서
페레올 주교로부터 사제로 서품돼
그 해 10월 귀국한다.
귀국 후 용인 일대에서 사목을 하다가
1846년 9월 국문 효수형을 받고
새남터에서 26세의 나이로 순교하셨다.
그리고 1984년 5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한국 방문때 성인 품위에 오르게 되었다.
김대건신부님의 기념관과 성당입니다.
소나무 숲 사이로 난 길을 따라 내려가면
붉은색 건물이 보이는데 기념관이자 성당인 곳이다.
전시관에는 충청도 지방의 가톨릭 역사를 비롯해
김대건 신부의 유품과 유골을 전시해 놓고 있다.
태어난 자리인 솔뫼에
기념관을 지어 김대건 신부를 기념하고 있다.
입구에 들어서면 김대건 신부가
살았던 옛집이 복원되어 있다.
왼편 언덕으로 오르면
소나무 숲에 둘러싸인
김대건 신부의 동상을 만날 수 있다.
솔뫼는
‘소나무가 우거진 언덕’이라는 뜻으로
이곳은 한국 최초의 가톨릭 사제인
김대건 신부가 태어난 곳이다.
김대건 신부는
1821년 당진 우강면에서 태어났는데
25세가 되는 1845년에 중국에서
사제로 서품을 받고 당시 천주교를 탄압하던
조선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의 능력을 높이 산 조정의 회유에도
불구하고 믿음을 지키다 이듬해인
1846년 서울 새남터에서 순교한다.
이곳에서 1821년 8월 21일
한국 최초의 사제이신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이 탄생하셨으며
박해를 피해 할아버지 김택현을 따라
용인 한덕동(현 골배마실)으로 이사갈 때인
일곱살까지 사셨다.
뿐만 아니라 김대건 신부님의
증조부 김진후(1814년 순교),
종조부 김한현(1816년 순교),
부친 김제준(1839년 순교)
그리고 김대건 신부님(1846년 순교)에 이르기까지
4대의 순교자가 살던 곳이다.